google-site-verification=OuAaFi8GgUcsk1phDtW5A2xsbVV7p2VWYFGu5L3KhIA 어린이의 구강습관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린이의 구강습관

by 카우보이대장 2023. 8. 3.

어린이의 구강 습관이 장기간 지속되면 미성숙된 악궁에 유해한 압력이 가해지고
치아의 위치와 교합이 비정상적으로 될 수 있는데 어린이에게 유해한 습관을 야기하는
원인으로는 변형된 골 성장, 치아의 위치 부정, 잘못된 호흡 습관, 언어장애, 안면 근육 간의 불균형, 심리상태의 혼란 등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인공 수유를 하는 어린이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빨기 습관이 많이 나타나며, 특히 욕구불만이 있을 때 구강 습관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유해한 습관을 치료하는 방법은 구강 내외의 물리적인 방법과 심리적인 방법으로 대별됩니다.
간단한 구강 외 방법으로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나는 물질을 손가락에 바르거나 손가락에 테이프를 붙이거나  붕대를 하여 손가락을 빨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어린이의 협조에 성패가 달려 있습니다. 구강 내 장치를 장착할 때는 장착하기 전에 어린이의 이해가 필요하며 부모의 협조가 있어야 하고 어린이에게 구강 내 장치가 벌을 주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시켜야 합니다.
 

1. 손가락 빨기

손가락 빨기는 흔히 어린이의  불만이나 부적응의 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어린이는 어두움, 부모와 떨어지는 것 등에 두려움을 가지며 가정에서의 갈등과 습관이나 부적응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손가락 빨기는 단순한 증상이 아니라 여러 가지 사건에서 초래된 갈등과 정서적 불안정에 관련된 복합적인 증상 주의 하나인 것입니다.
손가락 빨기를 행함으로써 하악 전치에는 설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반면 상악 전치에는 순 측 경사됩니다.

2. 혀 내밀기

혀 내밀기는 구강 습관 중 가장 논쟁이  많은 습관으로서 원인, 진단, 영향에 대해 매우 다양한 견해가 존재합니다.
신생아들은 젖 빨기 반사와 관련된 특징적인 연하 양상을 보입니다. 신생아 연하는 하악의 전방 이동과 입술 근육의 현저한 수축인 나타나며 설첨에서 설배까지 이어지는 뚜렷한 고랑이 형성됩니다. 반대로 성인의 연하에서는 입술의 수축, 하악의 전방 이동, 혀 내밀기가 보이지 않습니다. 유치가 맹출하고 어린이가 단단한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 혀는 더 높게 위치되고 전방으로 덜 내밀게 됩니다. 만약, 혀가 계속 낮게 위치하면 상악 전치가 전돌 되고 전치부 개방교합과 복잡한 치간이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에게서 유아형 연하나 혀 내밀기가 관찰되었을 때 치료는 모든 영구치가 맹출 한 다음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구호흡

구호흡 환자는 크게 폐쇄성, 습관성, 해부학적 등 3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폐쇄성 구호흡 환자는 코로 통하는 공기의 정상적 흐름에 대한 저항이 커졌거나 완전히 막혀서 입을 통해 호흡하는 경우이고, 습관성 구호흡 환자는 비정상적인 기도폐쇄 요인이 제거되어도 습관적으로 구호흡을 계속하는 경우이며, 해부학적 구호흡 환자는 상순이 짧아 의도적인 노력 없이는 완전히 입을 다물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구호흡 환자의 공통적인 증상은 상하 전치부의 만성 각화성 변연 치은염이며, 구호흡이 부정교합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부정교합은 때때로 구호흡 환자에게서 일어납니다.

4. 입술 빨기와 입술 깨물기

입술을 빠는 습관은 하순과 깨무는 습관은 상순과 관련이 깊습니다.
lip sucking시에는 상하악 전치 사이에 입술을 밀어 넣게 되며, 따라서 상악 절치가 순측으로 이동하고 하악 절치는 총생과 함께 설측으로 협착되어 수평피개가 증가됩니다. 만약, 입술이 돌출되어 상악 전치를 덮지 못하면 상악 전치는 외상 받기 쉬워지며 이때 이러한 습관은 전치부 개방교합을 가속화시킵니다.

5. 이갈이와 이 악물기

이갈이는 치아를 비정상적으로 갈거나 깨무는 것을 말합니다.
유치열에서 교합면의 마모는 어느 정도는 자연적인 것입니다. 그러나 이갈이에 의해서 교두 법랑질의 마모뿐 아니라 치수조직을 비칠 만큼 상아질이 노출된 것이 관찰되면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갈이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교합과 정서적인 긴장이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습니다.